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OLED 소재 부품 물류 자동화 관련주 정리

by 정거자앙 2023. 4. 6.

지난 4일 오후 충남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에서 윤 대통령이 OLED를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1위를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액으로는 4조 1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를 했고요. 삼성디스플레이의 투자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최근 흐름이 좋은 OLED 관련주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OLED 소재 부품 물류 자동화 관련주 정리
OLED 소재 부품 물류 자동화 관련주 정리

삼성디스플레이 OLED 구분

 

삼성디스플레이 OLED에 납품하는 협력사는 엄청 많이 있습니다. 1차 밴더부터 작은 부품을 납품하는 곳까지 아주 다양하죠. 많고 많은 회사들 중에 상장된 기업을 중심으로 알아보려 합니다. 크게는 6가지 부문으로 구분해서 정리를 할 수 있는데 오늘은 소재, 부품, 물류/자동화 부문을 알아보겠습니다. 각 부문의 상장 기업들을 나열하고 시가총액부터, 작년 2022년의 매출액, 영업이익, 매출액 증감%, 영업이익 증감% 그리고 마지막으로 PER까지 조사해 봤습니다.

 

소재 분야

 

소재 분야에는 4개의 기업이 있습니다. 덕산네오룩스, 솔루스첨단소재, 한솔케미칼, 동진쎄미켐인데요.

먼저 덕산네오룩스의 시가총액은 1조 516억 원입니다. 2022년의 매출액은 1천7백6십3억 원으로 2021년보다 7.9% 줄었습니다. 2022년 영업이익은 454억 원으로 2021년보다 11% 줄었습니다. 마지막으로 PER은 23.2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솔루스첨단소재의 시가총액은 1조 4,922억 원입니다. 2022년 매출액은 4천6백1십2억 원으로 2021년에 비해 21%나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2022년 -452억 원으로 적자로 전환을 했습니다. 이익이 마이너스이다 보니 PER은 -33라는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세 번째 한솔케미칼은 시가총액이 제일 높습니다. 2조 2,296억 원입니다. 매출액은 8천8백5십5억 원을 기록했고 2021년에 비해 15.2% 늘어난 모습입니다. 영업이익은 1천8백6십억 원으로 2021년과 비교하면 -5.9% 줄었고요. PER은 12입니다.

마지막 동진쎄미켐의 시가총액은 1조 6,015억 원입니다. 매출액은 소재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1조 4천5백7십2억 원으로 2021년 대비 25.5%나 늘어났으며 영업이익은 64.1% 늘어난 2천1백6십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PER은 7.4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요. 소재분야에서 수치상으로 으뜸가는 기업이라 볼 수 있습니다.

 

부품 분야

 

다음으로 부품 기업으로는 이녹스첨단소재, PI첨단소재, 비에이치 총 3개의 기업이 있습니다. 먼저 이녹스첨단소재는 시가총액 7,728억 원의 기업으로 매출액 4,894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과 비교해서 0.4%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971억 원으로 역시 2021년에 비해 0.4% 증가했고요. PER은 8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PI첨단소재는 시가총액 1조 1,394억 원입니다. 매출액은 2,764억 원으로 2021년 대비 8.4% 줄어들었으며 영업이익은 521억 원으로 31.4%나 줄어들었습니다. PER은 21.9를 나타내고 있고요. 회사가 역성장한 걸 보여주고 있죠.

마지막으로 비에이치는 급격한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시가총액 7,703억 원으로 매출액은 2021년 대비 62.1%가 오른 1조 6,81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더 늘어났습니다. 84.7% 증가한 1,31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PER도 5.9 수준으로 준수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류/자동화 분야

 

마지막으로 물류/자동화 분야는 에스에프에이와 로체시스템즈 두 기업이 있습니다. 먼저 에스에프에이는 시가총액 1조 3,340억 원의 기업으로 매출액이 시가총액을 넘어서는 1조 6,844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대비 7.6% 증가한 수치고요. 반면 영업이익은 14.8% 줄어들어 1,609억 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ER은 8.3 수준입니다.

로체시스템즈는 시가총액 1,299억 원으로 에스에프에이와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의 작은 기업입니다. 기업은 작지만 2021년 대비 매출액이 31.2% 증가한 1,446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98.5%가 증가하여 264억 원을 해냈습니다. 성장을 잘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현재 PER도 4.9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높다고 무조건 크고 좋은 기업은 아닙니다. 계속 성장하고 있는지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눈이 필요합니다.

이상 삼성디스플레이 OLED 관련주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댓글